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내 증시에서 찾는 중국 반도체 관련주

by 매실데이 2025. 3. 29.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제 삼성전자의 이재용 회장이 시진핑 주석을 만났다는 뉴스 기사를 접했습니다. 이재용 회장은 출장 소감에 대해 아직 답변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한국과 중국 간의 투자 협력 기회가 마련되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었고 국내 증시에서 중국 반도체 관련주가 뭐가 있을지 먼저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반도체 시장은 미중 기술 패권의 중심에 서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로봇과 AI 산업에서도 반도체 기술은 뺄 수 없는 항목입니다. 관련 산업들이 주목을 받을수록 투자자들은 자연스럽게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미국 증시와 늘 반대편에 서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중국 산업에 눈을 돌리게 되는 것 같습니다. 오픈 AI가 전 세계 사람들에게 충격을 준만큼 임팩트 있는 서비스를 내놓은 곳이 바로 중국의 딥시크입니다. 더 적은 비용과 노력으로 비슷한 수준의 인공지능 서비스를 내놓았다는 것이 화제였습니다.

특히 중국은 반도체 자립 선언과 대규모 자금 투입을 예고하였고 이러한 이슈는 글로벌 공급망을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생각됩니다. 국내 투자자들도 중국 반도체 관련주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중국 반도체 기업에 직접 투자하는 것보다는 중국 반도체 산업의 성장과 정책 수혜에 영향을 받는 한국 기업에 간접적으로 투자하는 전략을 생각해 보기로 했습니다. 해외 직접 투자는 환율 리스크도 있고 세금 문제 및 정보가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 소재, 장비, 또는 중간재를 납품하며 중국 반도체 산업의 공급망과 연결 있는 기업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증시에 상장된 중국 반도체 관련주

중국 파운드리 장비 공급, 원익 IPS

 

먼저 원익 IPS입니다. 원익 IPS는 증착, 식각 장비 등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국내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납품을 하였고, 중국의 Huahong, SMIC와 같은 파운드리 기업에 장비를 공급한 이력이 있어 관련주로 넣어보았습니다. 파운드리는 쉽게 말해서 반도체를 만들어주는 곳입니다. 다른 기업에서 설계한 반도체를 대신 제조해 주는 전문 공장 같은 곳인데 중국의 SMIC라는 기업이 대표적입니다. 중국 정보가 반도체 장비를 국산화하기까지는 일정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해당 기간 동안 해외 장비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고려할 때 한국 반도체 장비 업체의 매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OLED, CVD 장비 수출, 주성엔지니어링

다음 중국 반도체 관련주는 주성엔지니어링입니다.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CVD(반도체를 만들 때 얇은 층을 쌓는 기계) 장비를 전문적으로 생산합니다. 최근 중국 패널 제조사 TCL CSOT와 BOE에 OLED(얇고 보기 좋은 화면을 만들기 위해 필요) 증착 장비를 공급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주성엔지니어링은 특히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중국과 관계가 있으며 반도체 장비 분야에서도 수출이 꾸준히 확대되어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중국이 D램 및 낸드 플래시 생산 비중을 늘리는 만큼 중간 공정 장비의 수요 역시 늘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물리적인 수요 증가는 주성엔지니어링 기업의 실적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후공정 장비 업체, 한미반도체


다음으로 한미반도체입니다. 후공정 장비 분야에서 아주 유명한 기업입니다. 반도체 후공정 장비인 다이 소터(반도체 품질 구별), 본더(반도체를 기판에 붙여주는 기계) 그리고 비전 플레이서 등을 전 세계 시장에 공급을 하고 있으며 기술력 또한 인정받고 있습니다. 중국 반도체 관련주로 주목된 이유 역시 중국의 후공정 전문 기업과 여러 거래 이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며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에서의 매출이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후공정 산업은 인건비나 설비 투자가 다른 곳보다 낮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에서도 빠르게 자립할 가능성이 있어 중국 반도체 관련주를 투자하실 때 유의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도체용 특수가스 공급, SK

이데일리 기사


다음으로 SK머티리얼즈를 소개하고 싶었는데 SK그룹이 흡수합병하였기 때문에 SK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살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특수가스가 있는데 이를 공급하는 기업입니다. 중국의 반도체 산업에 대한 투자는 고순도(불순물이 거의 없는 깨끗한 원재료) 소재에 대한 공급 확대로 이어질 확률이 높습니다. 실제로 SK머티리얼즈는 중국의 특수가스를 납품하며 거래선으로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어 중국 반도체 관련주로 뽑아보았습니다.

세정 공정 장비 공급, 피에스케이 PSK


마지막으로 피에스케이 PSK입니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는 여러 단계가 있는데, 그중에서 식각 이후 웨어퍼를 세정하는 장비를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반도체 공정은 매우 까다롭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 단계의 공정은 반도체 수율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단계로 고성능 공정일수록 정밀하고 세밀한 장비가 필요합니다. 피에스케이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를 비롯하여 중국 파운드리 업체와 꾸준히 거래를 해온 이력이 있고 중국 내 세정 장비 수요 증가에 따라 관련 매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중국 반도체 관련주는 제가 최근에 이재용 회장의 중국 방문 소식으로 늦게 관심을 갖긴 했지만, 단순한 테마라기보다는 글로벌 산업의 흐름과 모든 국가가 꿈꾸는 기술 자립이라는 이슈와 관련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중국은 최근 산업의 여러 방면에서 두각을 나타날 때가 있는데, 국가적으로 한 산업에 투자하여 키우고 인건비, 재료에 관련하여 경제적인 장점을 앞세워 치고 나갈 때가 있는 것 같습니다.

한국의 반도체 소재, 부품, 장비 기업들은 중국의 반도체 또는 AI, 로봇 산업의 투자에 따라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중국 기업에 직접적인 투자에 어려움을 느끼는 투자자라면 국내의 중국 반도체 관련주에 간접적으로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관련 종목을 적어두긴 했지만, 특정 종목을 매수하거나 매도를 권유하는 목적이 아닌 투자 판단 자료로 활용하셔야 합니다. 해당 글을 작성하며 검색을 참고하긴 했지만 최신 실적은 아직 발표 전이라 글을 작성한 시점과 기업의 실제 동향을 다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