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프트업 공모주 청약일정, 주관사, 청약한도, 공모가

by 매실데이 2024. 6. 28.
반응형

다음 주 청약이 있는 시프트업에 대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확정 공모가는 다음 주 월요일인 1일에 나오는데요, 그전에 공모주 청약 일반적인 정보와 다양한 주관사의 청약 자격, 청약 한도, 그리고 시프트업 공모주 청약일정까지 먼저 살펴보려고 합니다.

시프트업은 공모주 청약 소식이 알려지자마자 일반 청약자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았던 공모주입니다. 유명한 모바일 게임 <승리의 여신 : 니케> 제작으로 알려진 기업이기 때문입니다. 기관 수요예측 당시 약 83조 원이 몰렸으며, 경쟁률도 200대 1이 넘었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어서 더욱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시프트업 주요 사업 내용

시프트업 공모주 청약일정에 앞서서 사업 내용을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19 당시 모바일 게임사 주가가 굉장히 많이 올랐던 적이 있습니다. 자금 유동성과 거리 두기로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OTT 서비스와 함께 모바일 게임주에 관심이 몰렸지만, 코로나19 이후 대출 금리 상승과 함께 모바일 게임사의 신작 실패가 이어지면서 많은 게임사들의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시프트업의 <승리의 여신 : 니케>는 대형 게임사의 빈자리를 채우던 서브 컬처 게임이라고 합니다. 서브 컬처란 주요 문화 흐름과는 달리 소수가 즐기는 문화라고 합니다.

이번에 시프트업 공모주를 정리하면서 게임을 조금 찾아봤는데, 게임이나 이런 문화를 잘 모르는 저에게는 다소 당황스러운 그림체였습니다. 크라임씬 예능에서 오타쿠 캐릭터가 좋아하던 미소녀 그림체 느낌이었습니다. 일본에서는 게임 팬미팅도 하고 다른 기업과 콜라보도 활발히 하는 등 게임 자체의 흥행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시프트업의 매출에서도 그 영향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승리의 여신 : 니케라는 게임이 2023년 매출 기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시프트업 공모주 청약 정보

시프트업 공모주 청약일정은 7월 2일부터 3일까지 진행됩니다. 확정 공모가는 1일에 발표됩니다. 뉴스에서 보면 희망 공모가 밴드인 47,000원~60,000원을 초과한 80,000원을 제시한 곳도 있었다고 합니다.

금번 공모주는 신주모집 100%로 이루어지며 일반 청약자 대상으로 25~30% 물량이 배정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규모가 큰 만큼 주관사도 한 곳이 아닌 세 곳으로 결정이 났습니다. 공동 대표 주관사로는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이 있으며 신한투자증권에서도 청약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시프트업 청약일정 이틀 후인 7월 5일에 환불 및 배정 공고가 되며, 상장일은 미정입니다. 상장일은 보통 배정 공고가 난 이후에 일주일 정도 후에 하는 편인데, 확정이 되면 다시 한번 정리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반 청약자와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청약 물량입니다. 공모가가 확정되면 자금 규모가 달라지기 때문에 우선 수량만 먼저 확인해 보겠습니다.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이 이루어진 후 일반청약자 대상으로 청약이 이루어집니다. 시프트업 공모주 청약일정 동안, 일반 청약자는 25~30%가 배정되었으며 공모주 수량으로는 1,812,500주 ~ 2,175,000주입니다.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수요예측은 지난 6월 27일에 마무리되었습니다. 주관사와 시프트업이 확정한 공모가는 7월 1일에 공고가 됩니다. 시프트업 공모주에는 환매 청구권이 없으며, 상장일에 유통 가능한 물량은 18.02%입니다.

 

시프트업 공모주 청약일정

 

7월 공모주 일정을 정리하기 전이라서, 시프트업 공모주 청약일정만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프트업 공모주 청약일정과 겹치는 공모주가 있습니다. 엑셀세라퓨틱스입니다. 시프트업 청약일에도 상장하는 공모주가 몇 개 있는데, 이노스페이스와 하스 공모주입니다. 저는 청약일에 바빠서 청약을 하지 못했는데, 청약하시고 배정받으신 분들이라면 시프트업 청약과 함께 상장일도 유의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시프트업 공모주 주관사

먼저 공동 대표 주관사 한국투자증권입니다. 배정물량은 892,724주 ~ 1,071,269주로 주관사 중에서 가장 수량이 많습니다. 균등 배정 수량을 계산하시는 분이라면 최소 청약 수량이 중요하게 생각할 것 같습니다.

한국투자증권 외에도 모든 주관사가 최소 공모 청약수량은 10주이며, 증거금은 50%가 필요합니다. 현재 알려진 희망 공모가 밴드로 계산을 해보면 235,000원 ~ 300,000원입니다.

한국투자증권의 최고 청약수는 일반 고객, 준우대 고객, 우대 고객, 최고우대 고객에 따라 다릅니다. 온라인으로 청약하는 일반 청약 고객은 최고 청약수량의 50%까지 청약이 가능합니다. 시프트업 공모주 청약일정에 해당하는 고객 등급을 확인하시고 청약을 하시면 됩니다.

 

한국투자증권의 우대 기준은 위의 이미지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일반 고객은 온라인으로만 청약이 가능하며, 다른 등급의 고객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준우대 고객은 시프트업 공모주 청약일정 직전월 3개월 평잔이 3천만 원 이상이어야 하며 자세한 조건은 주관사를 통해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다음으로 NH투자증권입니다. 배정 물량은 811,567주 ~ 973,880주입니다. NH투자증권은 일반 고객은 100%까지 가능하며, 우대 고객은 자산 평잔에 따라 150%~300%까지 청약이 가능합니다. 최소 청약수는 다른 모든 증권사가 동일합니다.

 

 

일반 고객은 청약 직전 3개월의 자산 평잔이 3천만 원 미만인 고객을 말합니다. 일반 고객의 경우 한국투자증권처럼 오프라인 청약이 불가하며 온라인으로만 청약이 가능합니다. 더 자세한 자격 요건은 주관사 또는 전자 공시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신한투자증권입니다. 108,209주 ~ 129,851주 배정받았으며 최소 청약수는 다른 증권사와 마찬가지로 10주입니다. 최고 청약수는 일반 고객은 100%인 35,000주 ~ 43,000주까지 청약이 가능하며 우대 고객은 조건에 따라 200~300%까지 청약이 가능합니다.

주관사가 여러 곳일 경우 보통 청약 마지막일 마감 직전까지 경쟁률을 확신할 수가 없습니다. 마지막에 자금이 몰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프트업 공모주 청약일정 중 마지막날인 3일에 저도 청약 경쟁률을 보고 있다가 비례 예상 수량을 한번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의 우대 고객 조건입니다. 시프트업 공모주 청약일정에 균등 배정 물량을 생각하시는 분들은 최소 청약수량까지만 청약을 하시면 되고, 비례 배정 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우대 주건까지 확인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시프트업은 자금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공모주중에 하나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청약 마지막날까지 비례 배정 경쟁률을 확인하고, 주관사별로 우대 조건을 확인하고 가장 많이 청약할 수 있는 곳을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비례 배정 청약을 하는 경우, 청약 단위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비례 배정 경쟁률을 확인하고 5사 6입에 따라서 비례 배정 1주 예상 수량의 60% 주식수를 계산합니다. 만약에 60%에 해당하는 1232주라면 그 수량에 해당하는 금액을 모두 넣는 것이 아니라 청약 단위를 다시 한번 체크해야 합니다.

한국투자와 NH투자증권의 경우 1,000주를 초과할 경우 500주 단위로 청약이 가능하기 때문에 1500주를 청약하셔야 하고, 신한투자증권의 경우 200주씩 청약이 가능하기 때문에 1400주를 청약하면 됩니다.

이상으로 시프트업 공모주 청약일정과 함께 주관사별 청약 한도, 우대 고객 조건, 사업 내용 등을 살펴보았습니다. 7월 1일 공모가가 확정된 이후에 더욱 자세한 공모주 청약 정보를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