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 공모가, 주관사, 상장일

by 매실데이 2024. 6. 22.
반응형

오랜만에 공모주 청약 소개 포스팅을 쓰는 것 같습니다. 6월 공모주 청약 일정이 굉장히 많았는데, 여러 가지 일들로 바빠서 포스팅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래도 월말이 되니까 조금 여유가 생겨서 다음 주 공모주 하스부터는 꾸준히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와 함께 주관사인 삼성증권 청약한도를 자세히 알아보고, 다른 공모주와 의무보유확약 비율과 경쟁률을 비교하면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스 주요 사업 내용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 공모가와 같은 본격적인 정보를 알아보기 앞서서 하스 사업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 시장이 활성화되고 공모주 청약에 참여하는 인원도 늘어나면서 짧게 사고파는 사람들도 늘어났지만, 원래 공모주 청약을 할 때 사업 내용과 매출 등을 자세히 보고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기업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고, 상장일에도 어느 정도에 파는 것이 좋을까 생가해보고 원하는 가격에 파는 연습을 하면 공모가가 지나치게 떨어질 때도 흔들리지 않고 지나치게 올랐을 때 추격 매수를 하지 않아서 큰 손해를 입지 않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스는 결정화 유리를 사용하여서 치과용 보철 수복물 소재를 개발하고 제조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자연 치아와 유사한 모양을 만들 수 있어서 소비자층이 확대되고 있다고 합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Amber 상품입니다(2022년 기준 매출 비중의 약 30%).

 

하스 공모주 일반 정보

공모주 청약에 필요한 일반 정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에는 경쟁률뿐만 아니라 주관사와 공모주 기업이 협의한 공모가를 볼 수 있는데, 이번에는 공모가 밴드 상단을 초과한 16,00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밴드가 상단을 초과한 공모주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밴드 하위권에 있거나 하지 않으면 참고만 하는 편이 좋습니다.

이번 공모주는 신주모집 100%로 이뤄지며, 주관사는 삼성증권입니다. 삼성증권이 온라인 청약 조건과 일반 청약 조건이 다른 증권사와 다른 편이기 때문에 이 부분도 뒤에서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약일은 다음 주 월요일인 24일부터 25일 이틀간 이뤄지며, 배정 및 환불 공고일은 이틀 후인 27일입니다. 하스 공모주 상장일은 7월 3일 예정입니다.

하스 공모주는 일반 청약자와 기관투자자 비중이 다릅니다. 신주모집 100%로 이뤄지고 이 중에서 일반청약자는 25%인 452,500주, 기관 투자자는 75% 1,357,500주가 배정되었습니다. 이제 일반 청약자에게 주어진 25% 물량을 온라인 청약고객, 우대 고객, 일반 청약 고객을 한도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바로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와 일정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스 공모주 주관사

자세한 청약 자격을 알아보기 전에 중요한 정보를 간략하게 정리해 둔 표입니다. 저는 공모주 청약을 할 때 청약수도 중요하게 보는 편입니다.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까지 확인한 이후에 바로 최소 청약수를 확인했습니다. 1주당 공모가가 아주 낮은 경우에 최소 청약수가 30주, 40주를 한다면 돈만 묶이고 수익은 기대에 못 미치는 일도 있기 때문입니다.

보통 일반 청약자에게 배정된 물량에서 절반은 균등 배정, 절반은 비례 배정으로 나누어집니다. 균등 배정 물량을 생각하시는 분들은 최소 청약수에 맞춰서 청약을 하면 됩니다. 공모주마다 일반 청약자에게 요구하는 최소 청약수량이 다른데, 삼성증권과 하스는 20주를 청약하셔야 합니다. 증거금률이 50%이기 때문에, 160,000원이 필요합니다.

비례 배정을 하는 경우에는 균등 청약보다 까다로운 편입니다. 균등 배정 외에 1주를 받을지 10주를 받을지 계산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보통 최고 청약수량까지 청약을 하는 경우에 비례 배정 가능 수량을 계산하고 청약을 하는 편인데, 그 계산 방법을 간단하게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청약이 끝나기 1~2시간쯤에 비례 청약 경쟁률을 확인합니다. 5사 6입제도가 생기고 난 이후로 1주에 필요한 금액을 모두 준비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청약 단위를 확인합니다. 만약에 1주를 받기 위해 5사 6입 방식으로 계산을 해보니 1200주가 필요하다고 한다면 1200주가 아닌 1500주를 청약해야 합니다. 1,000주를 초과해서 청약을 하는 경우 500주 단위로 청약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하스 공모주 주관사, 청약 자격

삼성증권 청약 자격은 보통 증권사와 조금 다릅니다. 다른 주관사는 일반 청약 자격과 우대 고객 자격만 다른 편인데, 삼성증권은 일반 청약자도 삼성증권에 잔액이 얼마나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평소에 삼성증권을 이용하지 않지만, 청약을 하고 싶은 경우에는 온라인 청약을 하시면 됩니다.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를 확인하고 청약을 결정하신 경우라면 온라인 전용 고객 자격으로 하시면 됩니다. 온라인 전용 청약 고객은 청약일 전일까지 청약이 가능한 주식 계좌가 개설되어 있어야 하지만, 비대면으로 계좌를 개설하거나 근거 계좌를 이용하여 추가 계좌를 마련한 경우에는 청약일에도 계좌를 개설하고 공모주 청약이 가능합니다.

 

청약 방법, 수수료

 

 

하스 공모주 청약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청약이 가능한데, 오프라인으로 하시는 경우에는 삼성증권 영업점 방문을 하시거나 유선으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청약하는 경우 우대고객 이상은 청약 수수료 무료, 일반 청약 고객은 2,000원인 반면에 오프라인으로 하는 경우에는 우대 고객과 일반 고객 모두 5,000원의 청약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균등 배정 청약을 생각하시는 경우에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까지 보신 다음에 바로 청약을 결정하기보다는 청약 수수료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공모가가 작은 경우에는 청약 수수료를 내고 나면 수익이 없는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입니다.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에 들어가기 전에 마지막으로 우대 고객 청약 자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사항 외에도 자신의 청약 자격이 궁금하신 분들은 전자공시 내용을 확인하시거나 증권사로 문의하시는 것이 정확합니다.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 정보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은 지난 13일부터 19일까지 이뤄졌습니다. 경쟁률까지 확인하고 금요일에 정리하려고 했는데, 이전에 공모주의 경쟁률이나 의무보유 확약 비율까지 다 확인한다고 하루 늦었습니다.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 총 2,140건의 청약 참여가 있었습니다. 이 중에서 희망공모가 밴드 상단을 초과해서 제시한 건수가 2,113건이었습니다.

경쟁률은 946.4 대 1로 마무리되었으며 의무보유 확약 비율은 6.36%입니다. 이 수치는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와 함께 다른 공모주 경쟁률 및 평균값을 비교해 보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금번 공모주 청약에는 환매청구권이 없으며, 상장일에 유통 가능한 물량은 32.96%입니다.

 

하스 공모주 경쟁률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와 함께 올해 있었던 공모주의 경쟁률과 의무보유 확약 비율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6월 공모주 청약 정보 포스팅을 자주 못했었는데, 하스부터 올리려고 하니까 이 부분이 딱 걸렸습니다. 그래서 글을 쓰기 전에 한번 다 정리를 해두었습니다. 6월이 넘어가니까 공모주 평균값 비교하는 표도 길어졌습니다.

올해 있었던 공모주의 경쟁률 평균값은 880.43대 1로, 하스 공모주 경쟁률은 이보다 더 높은 편입니다. 의무보유 확약 비율은 올해 있었던 공모주 평균값인 10.22%보다 다소 낮은 편입니다.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와 의무보유 확약 비율로만 비교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지만, 아이씨티케이, 아이엠비디엑스와 비슷한 수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스 공모주 청약 일정 정리

마지막으로 하스 공모주 청약 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이미지를 살펴보겠습니다. 하스 공모주 청약 마지막 일정에 에스오에스랩 상장 예정일이 있으며 배정 공고일에는 하이젠알앰엔 상장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하스 공모주 상장일 전날에는 이노스페이스가 상장한다고 합니다. 6월 공모주 청약 일정이 다소 복잡한 편이기 때문에 잘 살펴보시고 청약 일정을 놓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이상으로 하스 공모주 수요예측 결과, 경쟁률, 의무보유 확약 비율과 함께 주관사 청약 자격과 공모가 및 상장일과 같은 일반 정보를 살펴보았습니다. 다음에는 7월 공모주 중에 가장 기대되는 시프트업 공모주 청약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