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1월 공모주 청약일정 총정리

by 매실데이 2025. 1. 4.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2025년 1월 공모주 청약일정으로 글을 씁니다. 지난 7월 이후에 공모주 소식은 거의 올리지 못했습니다. 공모주 수익이 예전만큼 좋지도 않고, 투자 성향이 조금 바뀐 탓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1월에 좋은 공모주 청약이 있다는 소식을 듣고 나니까 일정을 정리하면서 저도 어떤 공모주인지 살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 글을 자주 봐오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처음 보시는 분들을 위해서 1월 공모주 청약일정 총정리를 어떤 순서대로 쓰는지 간략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달력에 표시한 공모주 청약 일정을 살펴보면서 균등 배정과 비례 배정을 어떻게 할 것인지 생각해 봅니다. 다음으로는 각 공모주 내용을 살펴봅니다. 사업 내용부터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청약 일정, 희망 공모가 밴드, 균등 배정을 위한 최소 수량까지 알아보고 있습니다. 이제 새해가 되고 처음 시작되는 1월 공모주 청약일정이라 저도 괜히 기대가 되는 마음입니다. 이제 하나씩 정리하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1월 공모주 청약일정

제 청약 캘린더를 살펴보신 분들이라면 바뀐 이미지를 눈치채셨을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하나씩 다 그려가면서 정리했는데, 이제는 노션 캘린더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기능이 있어서 정리하기는 쉽고 전달하기는 더욱 좋아진 것 같습니다. 2025년 1월 공모주 청약일정부터 이제는 이런 이미지를 사용해 볼까 합니다.

1월 첫째 주와 두 번째 주까지는 공모주 청약일정이 없습니다. 대신 세 번째부터 네 번째 주까지 많은 공모주가 모여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모주 초보자분들이라도 주관사가 많이 있는 곳이 규모가 큰 공모주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가장 마지막에 있는 엘지씨엔에스입니다.

1월 공모주 청약일정에서 가장 먼저 있는 미트박스글로벌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그전에 유안타 스팩 공모주가 있는데, 저는 스팩 공모주는 청약하지 않아서 이번 내용에는 제외하도록 하겠습니다. 보통 공모주 청약 마감 이후 영업일 기준으로 이틀 후에 청약 금액이 돌아옵니다. 미트박스글로벌로 예를 들자면, 청약을 하고 나면 17일 위너스 공모주 청약 시작일에 돈이 다시 환불된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렇다는 말은 미트박스글로벌에 모두 투자해 버리면 아스테라시스, 와이즈넛, 데이원컴퍼니 공모주 청약을 할 때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는 소리입니다. 1월 공모주 청약일정 중 세 번째 주는 청약 경쟁률을 더욱 꼼꼼하게 살펴보고 청약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네 번째 주에는 위너스 공모주 마지막날에 피아이이와 아이지넷 공모주 청약일정이 보입니다. 그 이후에는 모두들 기대하고 있는 엘지씨엔에스 공모주 청약일정도 확인됩니다. 위너스 공모주에 너무 많은 자금을 이동시킬 경우 이후 공모주 청약에 차질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균등 배정을 할 것과 비례 배정을 할 것을 고려하여서 청약을 해야 합니다. 1월부터 정신없는 한 달이 될 것 같습니다.

 

2025년 1월 셋째 주 공모주 청약 종목

1월 공모주 일정을 총정리한 글을 보았으니 이제 세부적인 공모주 종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미트박스글로벌입니다. 작년에도 상장을 추진했다가 철회하고 다시 도전하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업명을 보면 아시겠지만 축산물과 관련된 사업을 하고 있으며, 종속기업에는 미트박스아워냉장이 있습니다. 다른 종속기업도 있었으나 작년에 청산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2014년에 미트박스라는 서비스를 론칭하고 2015년 3월에는 가입자 1,000명을 돌파하고 같은 해 6월에는 월간 거래액 10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저도 1월 공모주 청약일정을 정리하면서 알게 되었는데, 이런 곳이 있었나 하고 신기해서 사이트도 한번 들어가 보았습니다. 보통 고기를 산다고 하면 마트를 가거나 근처 정육점을 가는데, 미트박스가 유통 단계를 줄이고 축산물 직거래가 가능하게 되는 등 여러 이점이 있어서 사람들이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 미트박스글로벌의 청약일정은 1월 13일부터 14일까지이며, 청약은 미래에셋증권에서 가능합니다. 희망 공모가 밴드는 19,000원 ~ 23,000원이지만, 청약 경쟁률이나 주식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균등배정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최소 청약 20주를 준비하셔야 합니다. 금액은 공모가가 확정되는 대로 다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최대 청약은 12,500주이며 현재 기준으로 상장일에 유통 가능한 물량은 38.97%입니다.

 

다음으로는 아스테라시스입니다. 공모주 청약일정은 1월 14일부터 15일까지입니다. 배정공고일이 17일로 나온 게 보이실 겁니다. 저게 환불일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2025년 1월 공모주 청약일정은 여유로운 편이 아니기 때문에 환불일을 잘 보고 균등배정과 비례배정을 결정해야 합니다. 또 주의해야 할 점은 아스테라시스의 희망 공모가 밴드가 4,000원 ~ 4,600원으로 낮은 편이라는 것입니다. 균등배정만 할 경우 1~2주를 받아도 청약 수수료를 내고 나면 청약자에게 돌아가는 수익이 적을 수도 있습니다.

 

아스테라시스는 피부 미용 의료 기기, 그중에서도 안티에이징과 관련된 기기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곳입니다. 주요 제품 현황을 살펴보았는데, 고강도집속초음파 기기 매출이 전체의 26.64%, 소모품 카트리지가 66.30%으로 주된 사업임을 알 수 있습니다. 아스테라시스는 DB금융투자에서 청약 가능하며 최소 공모주 수량은 20주, 최대 수량은 91,250주입니다. 상장일에 유통 가능 물량은 미트박스글로벌보다 다소 낮은 36.61%입니다.

 

다음 1월 공모주 청약일정을 살펴볼 기업은 와이즈넛입니다. 요즘 사람들이 많이 관심을 갖는 인공지능 관련된 기업입니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관련 기술을 갖고 있으며 국내외 여러 고객사가 있습니다. 주요 영역에는 비즈니스의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제품과, 검색, 빅데이터 및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매출은 검색 제품에서 가장 많으며(40.33%), 인공지능(25.88%)이 높습니다.

청약일정은 15일부터 16일이며, 주말이 있어서 배정 공고일은 4일 뒤인 20일입니다. 청약을 원하시는 분은 삼성증권에서 가능하며 희망 공모가 밴드는 24,000원 ~ 26,000원입니다.

 

와이즈넛의 최소 청약 수량은 20주이며, 최대 청약 수량은 10,500주입니다. 주의가 필요한 점은 유통 가능 물량입니다. 66.97%로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상장일에 주가 변동 가능성이 클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중견기업에 속하는 데이원컴퍼니입니다. 1월 공모주 청약일정은 몰려있으면서도 이렇게 중간중간에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이 있어서 청약 일정을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데이원'이라는 이름이 특이해서 어떤 사업을 하나 살펴보았는데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저도 온라인 수업은 꽤 많이 듣고 있어서 데이원컴퍼니에서 운영하는 기업들은 몇 가지 들어본 적 있습니다. 우선 가장 유명한 패스트캠퍼스입니다. 2023년 기준으로 100만 명의 누적가입자가 있다고 하니 그만큼 다양한 콘텐츠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다음으로 콜로소입니다. 저도 수업을 하나 여기서 들어본 적 있습니다. 영상이 세련되거나 집중이 잘 되는 강의는 아니었지만, 전문가가 하는 수업이라 많은 도움이 되었던 기억이 납니다. 패스트캠퍼스의 매출은 49.8%(2023년), 콜로소 30.1%(2023년) 정도입니다. 데이원컴퍼니 청약을 원하시는 분은 15일~16일까지 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데이원컴퍼니는 주관사가 총 두 곳입니다. 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 모두 최소 청약 수량은 20주이며, 최대 청약 수량은 미래에셋이 23,000주, 삼성증권이 2,500주입니다. 데이원컴퍼니 상장일에 유통 가능한 물량은 32.38%입니다.

다음으로 삼양엔씨켐입니다. 이 기업은 반도체 관련 기업이며, 중견기업에 해당하는 기업입니다. 반도체에 관해서는 저도 전문 지식이 없기 때문에 전자공시에 올라온 내용을 통해서 살펴보자면, 포토레지스트(PR)용 소재 제품 매출이 52.56%라고 합니다. 삼양엔씨켐은 16일부터 17일까지 KB증권에서 청약이 가능하며, 배정 공고일은 21일입니다. 희망 공모가 밴드는 16,000원에서 18,000원이며 최저가액 기준으로 모집 총액은 17,600,000,000원입니다.

 

삼양엔씨켐의 최소 공모 청약수량은 10주로, 2025년 1월 공모주 청약일정에 있는 공모주 중에 가장 적습니다. 예전에는 보통 최소 수량이 10주였는데 요즘은 거의 20주부터 시작해서 아쉬웠는데 10주를 보니 반가운 마음이 듭니다. 유통 가능 물량 또한 19.6%입니다. 경쟁률과 의무보유 확약 비율이 괜찮게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1월 세 번째 주에 마지막에 있는 공모주는 위너스입니다. 미래에셋증권에서 주말을 제외한 17일과 20일에 청약이 가능합니다. 희망 공모가 밴드는 7,500원 ~ 8,500원입니다. 주요 매출군은 콘센트 및 스위치와 같은 기타 통신기기입니다.

위너스의 최소 공모 수량은 20주이며 최대 청약 가능한 수량은 425,000주입니다. 최대 청약 가능한 수량은 증권사의 우대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이러한 점은 제가 청약일정이 다가오면 자세히 한번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위너스의 유통 가능한 물량은 24.81%으로 괜찮은 편입니다.

 

2025년 1월 넷째 주 공모주 청약 종목

드디어 2025년 1월 공모주 청약일정 중에 넷째 주로 넘어왔습니다. 피아이이 기업의 사업 내용을 살펴봤는데, 제가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들이 조금 많습니다. 이럴 때는 주요 제품 매출을 살펴봅니다. AI  비전 솔루션의 매출 비중이 21년도에는 85.37%로 상당히 높다가 23년도에는 38.93%로 줄어들고 대신 H/W 솔루션이 35.52%로 비중이 나눠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피아이이의 공모주 청약일은 20일~21일이며, 배정 공고일은 23일입니다. 희망 공모가 밴드는 4,000원~5,000원으로 다소 낮은 편이며, 청약을 원하시는 분들은 삼성증권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피아이이의 청약 수량과 유통 물량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피아이이의 희망 공모가 밴드가 그렇게 높지 않은 편이라 균등 배정은 다소 걱정이 되지만, 배정 물량이나 수익률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어서 알려드리자면 최소 청약 수량은 20주이며 최대 청약 수량은 22,000주입니다. 유통 가능 물량은 29.2%로 보통 정도입니다.

1월 공모주 청약일정 정리도 거의 마무리가 되어갑니다. 다음으로 알려드릴 공모주는 아이지넷입니다. 아이지넷은 한국투자증권에서 20일부터 21일까지 청약이 가능하며, 희망 공모가 밴드는 6,000원에서 7,000원입니다. 우려스러운 부분은 아이지넷 다음에 있는 공모주가 1월에서 가장 기대되는 공모주로 꼽히는 LG CNS라 사람들의 관심이 덜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이지넷 최소 청약 수량도 다소 높은 편입니다. 최소 공모주 청약 수량은 50주이며 최대로 하실 분들은 우대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8,000주 정도 가능합니다. 상장일에 유통 가능한 물량은 29.99%이지만 이 비율은 다소 변경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으로 LG CNS입니다. 1월 공모주 청약일정 중에서 가장 관심도가 높은 기업인데, 가장 마지막에 등장했습니다. 현재 전자공시에 올라와 있는 희망 공모가 밴드는 53,700원~61,900원이지만 수요예측 결과가 마무리되고 최종 공모가가 확정되기 전까지는 모두 예정인 금액입니다. 위 이미지를 보시면 엘지씨엔에스 주관사는 상당히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대표 주관사로는 KB증권이 있으며, 공동주관사로는 미래에셋증권, 신한투자증권, 대신증권 그리고 NH투자증권, 하나증권이 있습니다. 청약을 원하시는 분들은 엘지씨엔에스 공모주 청약일인 21일부터 22일까지 청약하실 수 있습니다.

엘지씨엔에스처럼 주관사가 많을 경우에는 자신이 균등 배정 청약을 할 것인지 비례 배정 청약을 할 것인지 따져봐야 합니다. 보통 이런 경우에는 공모주 청약일 첫날에 청약하는 것보다 마지막날에, 그것도 영업시간 바로 직전에 청약 신청이 몰려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관사별 경쟁률을 살펴보고 더 적은 금액으로 더 많은 배정 수량을 받기 위해서입니다.

KB, 미래에셋, 신한, 대신, NH, 하나 증권 모두 최소 공모주 수량은 10주이며 최대 청약 수량은 주관사별로 다릅니다. 대표 주관사인 KB증권이 60,000주로 가장 많으며 NH증권이 가장 적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최대 청약 수량은 우대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자주 사용하는 증권사가 있다면 청약 전에 기준을 다시 한번 살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이상으로 2025년 1월 공모주 청약일정 총정리를 마무리하겠습니다. 1월이라 다시 공모주에 대한 관심이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렇게 대형주까지 있으니 더욱 많은 사람들이 청약 준비를 하고 있을 것 같습니다. 다음에는 공모주별로 자세한 청약 정보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특히 청약에 중요한 수요예측 결과와 의무보유 확약 비율 등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금까지 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